본문 바로가기
AWS

AWS RDS 사용시 주의 사항 - 잘못하면 요금 폭탄..💣

by little_drops_or_water 2024. 4. 10.

RDS 사용 7일만에 99달러 청구된 내가 다시는 이짓 안하려고 작성하는 주의사항이다. 혹시나 처음 AWS RDS 사용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자.

 

1. AWS RDS의 프리티어는 일부 인스턴스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t2, t3, t4g만 프리티어 사용이 가능하고, 이외의 것은 프리티어 사용이 불가하다. 인스턴스가 많아질수록 사용량이 많아져 무료 허용량을 초과할 수 있으며, 초과할 경우, 그만큼의 요금이 청구된다. 

필자는 잘못 설정해서 t6으로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사용했더니 요금 폭탄을 맞았다..ㅠ

 

2. AWS RDS 프리티어 유료 서버 국가

정확히 말하자면 RDS는 무료이나 제공하는 서버가 유료인 국가이다. 이는 프리티어를 적용해도 해당 국가의 서버값은 유료이기에 이용료가 청구된다. 미국, 일본(오사카) 서버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니 서버 국가 설정할 때는 잘 보고 설정하자.

 

3. 데이터 가져오는 횟수가 많을 수록 과금일 확률 높아진다. 

당연한 말이기도 하지만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 입장에서는 모를 수도 있다. 특히 개인, 혹은 포트폴리오 용으로 AWS RDS를 사용하는 경우, 가르쳐주는 사람은 없고 처음 사용하다보니 모르고 그냥 프로젝트에서 계속해서 같은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가져올 경우, 그만큼의 요금이 청구된다. 그러니 반드시 캐시를 활용하자. 

 

제대로 안찾아보고 일 벌인 내 잘못이니 비싼 돈 주고 강의 들었다 생각해야지. 이 일 아니었으면 이렇게 AWS RDS에 대해 자세히 찾아보고 공부하지도 않았을 거고, 포트폴리오 웹사이트에 캐시 쓸 생각도 못했을 거니까..흑

 

참고로 요금 청구는 사용한 날의 서버 비용이 그 다음날에 청구 내역에 반영되는 형식이며, 해당 청구 금액은 한꺼번에 다음 달 3일 정도에 카드로 결재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ACL & Security Group 설정  (0) 2024.06.25
AutoScalingGroup 구성하기  (0) 2024.06.25
WEB & WAS, RDS 구성하기 2  (0) 2024.06.24
WAS & WEB, RDS 구성하기  (0) 2024.06.24
AWS RDS - MySQL 연동하기  (1) 2024.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