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포스트에서 나오는 웹페이지 화면 및 코드, DB는 작성자 본인이 제작한 것이 아닌, [SK 쉴더스 루키즈]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것들을 바탕으로 사용하였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EC2, RDS, VPC 등을 이용하여 웹 서버를 제작할 것이다.
이때 AWS를 이용하여 구성할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모습은 아래와 같다.
위 구성도에서 1~3번까지만 제작을 완료하고 이후는 서버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 생성이므로 이후에 제작할 예정이다. 일단 지금은 VPC를 제작하고 그 안에 서브넷 그룹을 생성하여 EC2와 RDS 인스턴스로 구성한다. 그에 맞는 AutoScaling Group, Security Group도 생성할 예정이다.
참고로 위 포스트에서 진행하는 설정에서는 프리티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프리티어가 아닌 유료 서비스도 이용하니 이 포스트를 바탕으로 그대로 따라하는 사람들을 이 점을 유념해주길 바란다.
1. VPC
1) VPC 생성
2) 서브넷 생성
위와 같은 방식으로 web-sub-2, was-sub-1, was-sub-2, rds-sub-1, rds-sub-2를 생성한다.
서브넷 이름 | web-sub-2 | was-sub-1 | was-sub-2 | rds-sub-1 | rds-sub-2 |
가용 영역 | 리전-2c | 리전-2a | 리전-2c | 리전-2a | 리전-2c |
IPv4 | 10.0.1.0/24 | 10.0.4.0/24 | 10.0.5.0/24 | 10.0.8.0/24 | 10.0.9.0/24 |
3)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4) 라우팅 테이블
- pub-rt
이미 생성된 라우팅 테이블의 이름을 'pub-rt'로 변경한다. (이 라우팅 테이블을 퍼블릭 라우팅 테이블로 사용할 예정)
- pri-rt
2. EC2 & RDS 생성
1) WEB-EC2 생성
위의 설정을 다 한 후, 나머지는 건드리지 않고 '인스턴스 생성' 클릭
2) WAS-EC2 생성
위의 설정을 다 한 후, 나머지는 건들지 않고 '인스턴스 생성' 클릭
3) jm-rds 생성
- DB 서브넷 그룹 생성
- DB 인스턴스 생성
저비용으로 실습하기 위해서 자동 백업 & 암호화 비활성화로 체크 해제한다.
위의 설정을 모두 마치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여기까지가 AWS로 기본적인 VPC, EC2, RDS를 생성 및 설정하는 방법이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웹사이트 코드를 was-ec2에 업로드하여 실행시키고 이를 web-ec2에서 접근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해보겠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ACL & Security Group 설정 (0) | 2024.06.25 |
---|---|
AutoScalingGroup 구성하기 (0) | 2024.06.25 |
WEB & WAS, RDS 구성하기 2 (0) | 2024.06.24 |
AWS RDS 사용시 주의 사항 - 잘못하면 요금 폭탄..💣 (0) | 2024.04.10 |
AWS RDS - MySQL 연동하기 (1) | 2024.03.29 |